밀폐공간작업 프로그램은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가? 질식, 중독 사고 발생 시 단일 작업자가 아닌 여러 작업자가 동시에 사망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나 밀폐공간작업은 작업 절차를 준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프로그램에서는 그 절차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은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을 수립하시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를 순서대로 작성해 보겠습니다. 첫 시작은 용어에 대한 정의로 부터 시작됩니다. 관련자들이 용어를 혼동하지 않도록 용어를 정의해야합니다. 정의 밀폐공간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중독·화재·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로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별표 18에서 정한 장소를 말한다. 밀폐공간작업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별표18에서 정한 장소로서 밀폐공간 내에 들어가 근로자가 필.. 건강한 작업 환경을 위한 소음 관리기준 및 대책 산업 현장에서 적절한 소음 관리는 작업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는 소음 관리 기준과 대책을 소개하고, 소음 작업의 분류 기준을 설명하겠습니다. 적절한 소음 관리 기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소음 관리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작업장 내 소음 연속 8시간 노동 시 일반적인 작업 환경에서 평균 소음이 85dB(A) 이하 연속 8시간 노동 시 소음의 최고치가 90dB(A) 이하 작업장 외 소음 측정 지점에서 일반적인 작업 환경에서 평균 소음이 70dB(A) 이하 측정 지점에서 소음의 최고치가 75dB(A) 이하 소음작업의 분류 기준 소음작업: 소음작업은 작업장의 소음이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dB 이상 발생 작업을 말합니다. 80dB 이상 발.. 산업안전보건법에서의 국소배기장치에 대한 내용(설치 및 설치제외 근거)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해야하는 근본적인 근거의 조항은 법 제5조(사업주의 의무) 와 제39조(보건조치) 입니다. ❍ 산업안전보건법 제5조(사업주 등의 의무) 1항 사업주는 근로자의 안전 및 건강을 유지ㆍ증진시키기 위해 이 법과 이 법에 따른 명령으로 정하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기준을 준수하고 근로자의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 등을 줄일 수 있는 쾌적한작업환경의 조성 및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의무를 하여야 한다. ❍ 산업안전보건법 제39조(보건조치)에서 사업주는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조치 원재료ㆍ가스ㆍ증기ㆍ분진ㆍ흄ㆍ미스트 등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을 위하여 안전보건규칙 제 8장의 환기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안전보건규칙 제429조 관련 별표 13의 제어풍속을 낼 수 있..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