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이나 현장에서 방사선 관련 기기를 취급할 때 어떻게 관리를 해나가야 할까요?
방사선 관리를 위한 요소들과 상세 내역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방사선 안전관리를 위한 고려 사항
- 목적 : 전리방사선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및 관련 법적 의무사항 준수
- 업무 주체 및 구분 :
- 관리부서(방사선안전관리자) : 현장점검 과 현황조사
-현장점검 총괄 및 결과 취합, 점검 실시, 미흡사항 조치계획 적정성 검토, 계획 시행 모니터링
-방사선 시설 및 종사자 현황 조사
- 사용부서(취급/정비,, 현업담당자) : 현장점검
-현장점검 실시, 미흡사항 조치계획 작성 및 시행, 점검결과 관리부서 송부
- 감시기 관리부서(감시기 담당자) : 현장점검
-현장점검 실시, 미흡사항 조치계획 작성, 점검결과 관리부서 송부, 조치사항 시행
주체별 관리 사항을 구체적으로 알려드립니다.
- 상세 관리 사항
- 사용부서
- 방사선 시설
ㅇ 관리구역, 게시/표지판, 밀폐/차폐
-방사선 구역 설정을 시작으로 관계자외 출입금지 조치를 실시해야하며, 종사자 외 출입자가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출입관리기록을 남겨둬야 합니다. 시인성 확보를 위해 점광판을 설치하는게 좋습니다.
-현장 입구에는 반드시 주의사항에 대한 게시판을 설치하고 현황을 게시해야 합니다.
-방사성 물질의 밀폐 여부는 항시 체크하고, 시설 주변에 차폐벽과 방호울을 설치합니다. 그리고 발산원은 가능한 밀폐하여 사용하고 개방되어있는경우 반드시 국소배기장치와 경보기를 설치합니다.
- 안전장구
ㅇ취급용구, 개인선량계, 보호구
-작업자가 접근하기 쉬운 곳에 국자나 집게 등 취급용구를 용구전용 걸이에 비치하고 적정 수량의 보호구를 갖춰둡니다. 보관 및 운반용기의 누기/녹 등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 교육/검진
ㅇ 교육
-방사선작업종사자 교육 및 설비관리자/운영자 교육을 수료합니다.
ㅇ 검진
-배치전 건강 검진은 누락되기 쉬우니 반드시 체크하시고 특수건강검진을 년 1회 실시합니다. 사후관리 또한 누락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 평가
-주로 보유하고 있는 위험성평가 시스템에 맞춰서 진행하면 됩니다.
- 점검/검사
ㅇ 방사선 측정
-방사선 주변 선량을 월 1회 이상 측정하고, 측정기는 반드시 주기적으로 검교정 합니다.
ㅇ 누설검사
-누설검사는 기술기준에 적합한 수준으로 진행합니다.
- 관리부서
- 인허가
-사용시설 허가 및 신고 여부와 시설감사 실시 완료 여부를 확인합니다.
- 규정/절차/작업표준
-해당 문서의 유무를 확인함과 동시에 신규 법규가 반영되어 있는지 검토해야 합니다. 관련 문서중에는 반드시 비상대응훈련에 대한 절차서를 작성해 두고 이에 따라 실시해야 합니다.
- 정기/수시 검사
-정기적인 검사를 실시하고 지적사항 발생 시 적절하게 조치를 합니다.
- 비파괴검사
-비파괴검사(RT)전 사전 모니터링 여부를 확인하고 발주자 의무사항 이행여부를 점검합니다.
- 통합정보망관리
-보고기한과 보고내용 누락 여부를 확인합니다.
- 안전관리자선임
-대리자가 있는 경우 대리자의 기준 적합성을 확인 후 지정합니다.
- 감시기
- 감시기 매뉴얼
-조치 Flow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설비별 조치요령을 확인합니다.
- 감시기 성능기준 준수
-유지보수에 대한 정기점검 실시 유무를 확인하고 고정식 감시기 운영일지 작성 및 기록에 대한 점검을 합니다.
- 교육
-성능 기준 만족 검사와 교육을 실시합니다.
※ 방사성 물질의 종류 : 산업 현장에서는 Cs-137, Am-241, Co-60 을 주로 사용합니다.
※ 용도 : 수분측정, 두께측정, 위치감지, 정전기 제거 등에 사용 합니다.
'산업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항목별 사용가능, 사용불가 내역 (0) | 2023.03.30 |
---|---|
산업안전보건관리비로 안전관리자 성과급 지급 가능한가? (0) | 2023.03.23 |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적게 사용 했을 경우, 문제가 있는가? (0) | 2023.03.22 |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요약 (0) | 2023.03.14 |
산업안전보건법의 구성 (0) | 2023.03.10 |